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이재명 대표, 우상호 전 의원이네요. 뭘 모은다는 겁니까?<br> <br>A. 434억 원, 이 숫자 요즘 자주 뉴스에 등장하죠. <br> <br>이 대표 공직선거법, 1심대로 확정되면 민주당이 반환해야 할 액수인데요. <br> <br>워낙 액수가 크다보니 이런 항변이 나왔습니다. <br><br>[우상호 /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(어제, CBS 라디오 '박재홍의 한판승부')] <br>지금 434억을 어디서 만듭니까? 민주당은 폭삭 망하게 되죠. 건물 팔고 모금을 해도 만들기 어려울 거예요. 판사님은 이재명 대표 개인만이 아니라 민주당까지 폭삭 망하게 만든 판결을 내린 건데. 민주당에 무슨 감정이 있으신가? <br><br>Q. 우상호 전 의원 지난 대선 때 열심히 뛰었었죠. 민주당이 건물 팔아도 폭삭 망한다, 진짜입니까?<br> <br>A. 일단 국민의힘은 다 반환해도 민주당, 끄떡 없다고 했죠. <br>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(지난 14일)] <br>"434억 반환해도 민주당에 500억 가까이 자산이 남는다. (민주당은) 공중분해 안 되는 거죠."<br><br>국민의힘 계산은요. <br> <br>여의도에 있는 민주당사 약 440억 원, 또 민주당에 정치자금 약 490억 원이 있어서 보조금 내도 500억 남는다는 겁니다. <br><br>Q. 실제로는 어때요? <br><br>부동산 사이트와 민주당 홈페이지 통해 따져봤더니요. <br><br>국가 보조금 받은 돈에 인건비 등 빼면 280억 원 정도고요. <br><br>올해 6월 기준, 민주당원 245만 명이 낸 당비 210억 원에 민주당사 시세, 340억 원 추정됩니다. <br><br>자산이 총 830억 원 정도 추산되는데요. <br> <br>수치상으론 434억 반환해도 400억 원 정도 남는 거죠.<br><br>민주당 관계자, "말도 안되는 정치 판결에 재정 규모 따지는 자체가 웃기는 일"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박찬대 원내대표,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인데요. 기가 '찬대?' 운영위에서 무슨 일이 있었길래요?<br> <br>A. 이 대표 1심 선고 뒤 처음 운영위 열렸죠. <br> <br>야당 의원들, 분한 듯 일제히 '강공 모드' 나섰는데요. <br> <br>운영위원장이자, 그동안 여당과 소통에 앞장 서 온 박찬대 원내대표까지 감정 폭발했습니다. <br>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 <br>해보자는 거예요 지금? 인권에 대해서 얘기하는 거잖아요! <br> <br>[정진욱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오늘)] <br>이권이요? <br> 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 <br>귀가 어떻게 됐어요? 인! 권! <br> <br>[정진욱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오늘)] <br>'이권'으로 들려가지고 <br> <br>[박찬대 / 국회 운영위원장(오늘)] <br>말 할 때마다 끼어드십니까! 임이자 의원님! <br> 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 <br>뭐요! <br> <br>[박찬대 / 국회 운영위원장(오늘)] <br>왜 할 때마다 끼어들어!!!!! <br> 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 <br>왜 반말해요? <br> <br>[박찬대 / 국회 운영위원장(오늘)] <br>우리도 많이 참고있어요 <br> 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 <br>별로 참는 것 같지 않은데 <br> <br>[박찬대 / 국회 운영위원장(오늘)] <br>임이자! 왜 반말하지 말라면서 왜 합니까! <br> 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 <br>박찬대!!!!!! <br> <br>[박찬대 / 국회 운영위원장(오늘)] <br>왜!! 왜!! 왜자꾸 반말하냐고!! <br><br>Q. 운영위, 원래 대통령실 예산안 심사였잖아요?<br> <br>A. 네 그동안 제기됐던 대통령실 '골프 거짓 해명' 의혹도 나왔는데요. <br> <br>여당 의원은 이렇게 감싸더라고요. <br> <br>[정성국 / 국민의힘 의원 (오늘)] <br>IMF 시절 국민들이 많이 낙담하고 힘들 때 박세리의 골프는 우리 국민들에게 많이 회자됐었던 내용이잖아요. 대통령이 골프 한 번 쳤다는 것이 이렇게 큰 논란이 될 이유가 없다<br><br>Q. 주제 하나 더 보겠습니다. 한 가족이요? 한동훈 대표 가족 말하는 건가요?<br> <br>국민의힘 당원게시판에 한 대표와 가족들 이름으로 대통령 부부 비방 글 올라온 사건. <br> <br>경찰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정치권에선 추리가 난무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.그래요? 어떤 추린데요?<br> <br>먼저, ‘설마형’입니다. <br><br>홍준표 시장, 믿기지 않아 도용으로 본다면서도 가족 동원됐다면 대표자만 처벌해야한다고 했고요. <br> <br>또 다른 친윤, 김기현 의원도 설마 한 대표 가족들이 올렸겠느냐며 당무감사 주장했습니다. <br><br>Q. 설마 하면서도 친윤 쪽은 한 대표를 압박하는 거죠.<br> <br>아예 범인을 특정 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의원 (오늘, 채널A 라디오쇼 ‘정치시그널’)] <br>제가 듣기로는 (가족들 중) 누구한테 이거했다고 몰아줄까 고민 중이라는데 나이가 있으신 분들한테는 못 몰 것 같고 따님은 지금 MIT에서 공부하고 계시다고 아들이라는 분은 학교 갔을 시간에 썼으면 말이 안 될 테고. 그러면 남은 건 와이프 분. <br><br>[장예찬 /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(지난 15일, 출처: 유튜브 ‘지지율대책회의’)] <br>처가 쪽과 친가 쪽 명의를 다 인증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진○○ 씨(한 대표 부인) 밖에 없어요. 맞잖아? 내 말에 논리적 허점 있어? <br><br>Q. 두 사람, 모처럼 합심했네요. 하지만 수사결과 나오기 전엔 다 가설이죠.<br> <br>경찰이 서버 보존 요청하면서 수사 본격화되고 있죠.<br> <br>친한계는 수사 결과를 기다려보라며 불쾌한 기색 보였고요. <br> <br>당사자인 한 대표는 의혹 제기에 이렇게 답했습니다. <br><br>[한동훈 / 당시 법무부 장관 (2022년 5월)] <br>제 딸이요? 이모랑 같이 뭘 했다는 얘기는 처음 듣습니다. 제 딸 이름이 영리법인일 순 없죠. <br><br> <br>Q. 대표님 가족 명의 도용된 것 아닌지?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 (오늘)] <br>제가 더 특별히 (말씀)드릴만한 내용이 아닌 거 같아요.<br> <br>한 대표, 이 건과 관련해서는 명확한 답을 피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가족과 관련된 압박은, 정치인에겐 숙명과 같은게 아닌가 싶습니다. (가족압박) <br>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성혜란 기자, 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한정민<br /><br /><br />성혜란 기자 saint@ichannela.com